
1. 다시 해보자고 말하는 사람과, 아무 말 없이 시작하는 사람의 차이우리는 종종 “다시 해보자”, “이번엔 제대로 해볼 거야” 같은 말을 입에 달고 산다. 하지만 그런 말은 대개 실행보다 반복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어제도 그랬고, 작년에도 그랬다. 그래서 더 이상 누군가의 “이번엔 다르다”는 말이 신뢰를 주지 못한다. 우리 스스로조차도. 토니 로빈스는 에서 이런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변화하기를 원하는가, 아니면 변화한 듯 느끼고 싶기만 한가?” 처음 이 문장을 마주했을 때, 나는 책을 덮었다. 왜냐하면 정확히 그 상태였기 때문이다. 삶을 바꾸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나는 늘 준비 중이었다. 마음의 준비, 시간의 여유, 환경의 정리, 감정의 회복… 그런 것들이 갖춰지면 시작하겠다고. 그런데 로빈스는 ..

✦ “희망은 막연했다, 의미만이 나를 붙들었다”끝이 보이지 않는 고통 속에서 '희망'이라는 말은 때로 더 잔인하게 다가온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 내일이 올지조차 확신할 수 없는 현실에서 "다 괜찮아질 거야"라는 말은 기대보다는 불신을 먼저 불러온다. 빅터 프랭클이 갇혀 있던 아우슈비츠 수용소는 그런 희망조차 무력하게 만드는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이름 대신 번호로 불렸고, 인간이기를 포기당한 상태로 겨우 존재했다. 누군가가 총을 쏘거나 때려서 죽이는 것이 아니라, 그저 매일같이 굶기고 버림으로써 점점 말라가게 만드는 공간. 어떤 신념도, 원칙도, 내일도, 자유도 없는 그곳에서 프랭클이 살아남을 수 있었던 건, 그가 '희망'을 붙들어서가 아니었다. 그는 희망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단단한 것..

✦ “나를 가난하게 만든 건 내 환경이 아니라 내 해석이었다”돈을 많이 벌고 싶었다. 내 삶이 조금 더 나아졌으면 했고, 일에 쫓기기보단 주도하고 싶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기회가 와도 움츠러들었고, 돈이 생기면 어느새 사라져 있었다. 처음엔 세상이 불공평하다고 생각했다. 나보다 게으른 사람도 여유롭게 사는 것 같았고, 나는 늘 뭔가에 쫓겼다. 그때 이런 문장과 마주쳤다. "당신의 외적 현실은 내면의 반영이다." 책 속에서 하브 에커는 우리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어릴 적부터 무의식 속에 새겨진 '머니 블루프린트'때문이라고 말한다. 가족, 사회, 교육, 그리고 내가 돈을 처음 마주한 기억들까지 그 모든 경험이 내 머릿속에 '돈은 이런 거다'라는 믿음을 만들어놓았다는 거다. 내게 돈은 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