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모두가 꿈꾸는 30대에 경제적 자유를 이룬 롭 무어. 그가 특별한 이유는 단순히 돈을 많이 벌었다는 데 있지 않습니다. 그보다도 '어떻게 시간을 벌었는가' '어떻게 영향력을 확장했는가'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꿨다는 점에서 진짜 배울 만한 사람입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레버리지는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많은 성과를 내는 기술이다.” 솔직히, 처음 이 문장을 봤을 땐 반감이 들었습니다. '말이야 좋지, 세상에 그런 게 어딨어. 결국은 다 열심히 해야지.' 하지만 얼마 안 가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진짜 문제는 '열심히 안 해서'가 아니라, '무조건 열심히만 해서'일 수도 있다는 것. 결국 중요한 건, '어디에' '무엇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가였습니다. 1.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면, 아무 일도 ..

1. 세상이 말하는 ‘똑똑함’은 정말 전부일까?우리는 자라면서 수도 없이 들어왔습니다. "공부 열심히 해야 성공한다" "머리 좋아야 잘 살 수 있어." 지능, 학력, 스펙 이 세가지가 인생의 성패를 좌우하는 절대 기준처럼 여겨져 왔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IQ와 성적을 통해 사람을 평가합니다. 은 이 익숙한 전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책입니다. 저자 가나자와 사토시는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지능이 높을수록 비합리적인 선택을 더 자주 한다'는 흥미로운 데이터를 내놓습니다. 똑똑하다고 불리는 사람들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생활방식을 선택하거나, 비효율적인 인간관계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는 거죠.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인간의 지능은 원래 단순하고 반복적인 환경에서 생존하도록 진화한 도구일 뿐, 현대 ..

작심삼일은 당신 탓이 아닙니다. "왜 이렇게 의지가 약할까?" "또 작심삼일이네..."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다이어트든 공부든, 좋은 습관 하나 만들어 보겠다 마음먹고는 며칠 지나지 않아 흐지부지되는 경험. 그럴 때마다 우리는 너무 쉽게 스스로를 탓합니다. '나는 원래 꾸준함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야'하고 말이죠. 하지만 리처드 탈러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건넵니다. "그건 당신의 잘못이 아니라, 당신이 선택하는 구조가 그렇게 짜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책 는 사람들이 왜 자꾸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지를 탐구하며,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작고 영리한 장치를 소개합니다. 중요한 건 의지를 키우는 게 아니라, 의지가 덜 필요해도 좋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환경'을 설계..

삶이 흔들릴 때, 책이 길이 되어줄 수 있을까...? 고통이 몰려올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도망치고 싶어집니다. 누구라도 그럴 겁니다. 하지만 진짜 무서운 건 고통 그 자체보다도 '이 시간이 언제까지 이어질까'라는 두려움 아닐까요. 이 책은 교통사고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가 살아 돌아온 한 저자의 고백이자, 삶의 균열 속에서 길을 다시 찾은 사람의 기록입니다. 책을 덮으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건 무언가를 잃을까 두려워 하던 내게, '지금 이 삶도 괜찮을 걸까?' 하고 묻게 문장입니다."이 책을 읽는 당신이 잃을 거라고는 단 하나, 지금의 끌려다니는 삶뿐이다."1. 위대한 ‘나’는 이미 내 안에 있었다우리는 흔히 자기계발을 '채워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언가 더 배우고, 더 가져야 하고, 더 바꿔..

📘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혼자인 나를 돌보는 시간"홀로 있는 능력이 생겼을 때, 비로소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이 문장을 읽었을 때, 마음 깊숙한 곳에 조용히 내려앉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말로 설명하긴 어렵지만, 마치 오래전부터 누군가 내게 들려주길 기다렸던 말처럼. 예전의 나는 혼자 있는 걸 좋아하는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고 유난히 사교적인 편도 아니었지만,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 삶의 일부라고 믿었죠. 그런데 마흔이 되고 나서부터는 조금 달라졌습니다. 누구와 함께 있는 시간보다 나를 들여다보는 시간이 더 귀하게 느껴졌고, 조용한 고요 속에서 진짜 내 마음의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혼자 조용히 깨닫는 그 시간이 오히려 위로가 되었고, 어쩌면 쇼펜하우어가 말한 '홀로 있는 능력'..

"왜 나만 이렇게 힘들까." 정말 벽에 부딪힌 듯한 날에는 이런 생각부터 듭니다. 다른 사람들은 다 잘나가는 것 같은데, 유독 나만 뒤처지는 것 같고, 괜히 '이제 너무 늦은 거 아닌가' 싶은 마음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럴수록 자꾸 비교하게 됩니다. 나보다 더 빨리, 더 많이, 더 잘해내는 사람들을 보면서 '나는 왜 아직도 이 자리에 머물러 있지?'라는 질문만 마음속에 맴돌게 되죠. 그러다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 괜히 더 위축됩니다. 그들은 원래부터 잘났던 거고, 나는 애초에 안 되는 쪽이었나 보다 싶기도 하고요. 그런데 를 읽고 나면, 그 생각이 조금 달라집니다. 박정부 회장, 지금은 전국민이 다 아는 다이소의 창업자이지만 그도 한때는 통장에 7만원만 남은 마흔다섯의 늦깎이 창업자였다는 사실, 알고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