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퀴즈] 부모님이 1959년생이고, 전세 살며 월 소득은 180만 원입니다.
국민연금은 아직 수령하지 않고 있는데…
이 경우 기초연금 받을 수 있을까요?
👉 정답은 글 맨 아래에서 공개합니다!
🧓 기초연금이 뭐예요? 누구나 다 받을 수 있나요?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국가에서 지급하는 복지 연금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월 최대 367,500원, 연간 400만 원이 넘는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죠.
단,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까다로운 소득 및 재산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그래서 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합니다.
“우리 부모님은 받을 수 있을까?”
“집이 전세인데도 못 받는 거야?”
“국민연금이 있으면 탈락 아닌가요?”
✅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요약
항목 | 기준 |
나이 | 만 65세 이상 |
국적 | 대한민국 + 국내 거주자 |
소득인정액 | 단독가구: 월 219만 원 이하 부부가구: 월 350.4만 원 이하 |
※ 소득인정액이란?
👉 실제 소득 +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값
여기서 많은 분들이 막힙니다.
"도대체 재산을 어떻게 계산하는 건데요?"
💡 부부는 탈락, 혼자면 합격?
재산이 있다고 못 받는 건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부분이 바로 **"우리 집 전세가 1억이니까 못 받겠지"**입니다.
하지만 실제 계산은 훨씬 복잡하고, 수급 가능성이 생각보다 높습니다.
🔸 재산 소득환산 예시
정부는 재산을 단순히 '총액'으로 보지 않습니다.
‘환산율’을 적용해서 월 소득처럼 계산합니다.
2025년 기준 환산율은 연 5% (월 0.4167%)입니다.
예를 들어:
- 전세 보증금 1억 원 → 월 환산소득 약 41만 6천 원
- 예금 2000만 원 → 약 8만 3천 원
→ 총 재산 환산 소득: 약 50만 원
여기에 실제 소득(근로·연금 등)을 더해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이면 기초연금 수급 가능!
🔸 부부는 ‘합산 심사’지만 개별 지급도 가능
- 부부가 같은 세대에 살고 있다면, 부부 기준(350.4만 원 이하)을 따릅니다.
- 단, 개별적으로 소득과 재산을 심사하며 한 명만 받거나, 두 명 다 받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 사례로 확인해보세요!
👵 A 어르신 (단독가구)
- 전세 7천만 원
- 예금 1천만 원
월 수입: 120만 원
→ 소득인정액 약 170만 원
✅ 기초연금 수급 가능!
👴👵 B 부부 (부부가구)
- 자가 소형 아파트 보유 (2억 원 기준)
- 월 합산 소득: 250만 원
→ 재산 환산 후 소득인정액 약 370만 원
❌ 기준 초과로 수급 불가 가능성
※ 단, 실제 심사 기준은 지역·세대구성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국민연금공단 상담을 꼭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신청 방법은? 꼭 챙기세요!
💠 언제 신청할 수 있나요?
→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예: 2025년 11월 생일이라면, 10월 1일부터 신청 가능
💠 어디서 신청하나요?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 필요한 서류
- 신분증
- 통장 사본
- 재산·소득 관련 증빙 (임대차계약서, 소득증명 등)
부부가 따로 살고 있다면, 세대 분리 관련 서류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수령 중이면 못 받나요?
절대 아닙니다.
국민연금 수령자는 일부 금액 감액될 수 있지만,
기초연금과 동시에 수령 가능합니다.
※ 예: 국민연금 월 60만 원 수령 → 기초연금 일부 감액, 월 약 10만~20만 원 수령 가능
🧠 앞서 퀴즈 정답 공개!
1959년생, 월 소득 180만 원, 전세 거주 부모님의 경우
소득인정액 기준에 충분히 부합 가능성 높음!
→ 국민연금 수령 여부 + 정확한 재산 정보까지 확인 후, 꼭 신청!
📋 기초연금 체크리스트
✅ 만 65세 이상인가요?
✅ 대한민국 국적 + 국내 거주 중인가요?
✅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인가요?
✅ 부부 합산 시 350.4만 원 초과하지 않나요?
✅ 국민연금 수령 여부 확인했나요?
📌 위 항목 중 4개 이상 ‘YES’면, 무조건 상담 받으러 가보세요!
💬 마무리 멘트
기초연금은 ‘되는 사람은 쉽게 받고’,
‘모르면 그냥 지나가는’ 복지입니다.
하루 몇 분만 투자해서, 부모님께 매달 30만 원 넘는 혜택을 안겨드릴 수 있다면
그보다 뿌듯한 일은 없겠죠?
🔗 유용한 링크
'복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 지급대상 매달 100만 원? 1분 안에 확인하는 방법! (2) | 2025.07.30 |
---|---|
노후준비 7원칙만 알면 손해! 정부가 돈 주는 제도까지 싹 정리 (1) | 2025.07.29 |
어르신 통신비 감면 신청, 부모님 휴대폰 요금 매달 2만 원씩 줄일 수 있습니다 (1) | 2025.07.28 |
출산 장려금 많이 주는 곳 출산하면 3천만 원? 지역별 TOP5 (2) | 2025.07.28 |
전기요금 할인대상, 여름 전기세 싹 줄이는 비밀 (1) | 2025.07.27 |